3쿠션 국민시스템인 파이브앤하프 시스템입니다.
시스템의 유래는 과거 무회전(no english)으로만 당구를 치던 시절(팁의 개발이 되지 않아서 회전을 줄 수 없었던 시절)에
무회전으로 5를 치면 수구위치를 기준으로 반만 이동하여서 5 and half에서 유래가 되었습니다.
또한, 수구가 진행되는 모양이 다이아몬드형태여서 다이아몬드시스템으로도 불리게 됩니다.
가장 오래된 시스템중 하나이며, 보정이 매우 까다롭지만, 보정만 이해하게 되면 최고 수준의 신뢰도를 자랑하는 시스템입니다.
팁의 개발로 인해서 이제는 10 and half 시스템으로 불려야 될 것으로 보입니다.
10 포인트로 입사시키면 2팁을 기준으로 정확하게 3쿠션의 포인트는 Half로 이동하게 됩니다.
1. 포인트 수 (수구, 1쿠션, 3쿠션)
파이브앤하프 시스템을 이용하려면 우선 테이블 수치를 기본적으로 암기하셔야 합니다.
테이블 수에는 1) 수구 포인트 수 2) 제3쿠션 포인트 수 3) 제1쿠션 포인트 수가 있고, 그 위치는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참고)

여기서 주의할 것은 수구수와 제1쿠션수는 프레임포인트(테이블 위에 박힌 힌 점)을 기준으로 설정되었지만, 제3쿠션수는 레일포인트(공이 직접 맞는 레일)를 기준으로 설정되었다는 점입니다.

가장 기본이 되는 수구 출발 50을 기준으로으로 정확한 3쿠션의 도착지점은 아래의 괄호()안의 숫자이다.

2. 기본 공식
수구수(Departure) - 제3쿠션수(Arrival) = 제1쿠션수(Target)
예시) 코너 기준으로 50 - 30 = 20이 가장 기본이 되는 계산법입니다.
3. 당점
파이브앤하프시스템의 기본 당점을 정확히 구사하지 않으면 변화가 심하게 되기에, 정확한 기준으로 연습하여야 합니다.
가. 수구의 출발이 60이상인 경우에는 중단(3시 또는 9시)를 기준으로 구사하여야 합니다.
나. 수구의 출발이 30~60은 중상단(2시 또는 10시 ) 2팁의 회전으로 구사하여야 일정한 기준을 만들 수 있습니다.
다. 수구의 출발이 30이하 인경우는 중상단(1시 30분 또는 10시 30분) 1팁반의 회전으로 구사하여야 일정한 기준을 만들수 있습니다.

4. 스트록과 스피드
파이브앤하프 시스템에서 스트록은 부드러운 롱 팔로우 샷입니다. 스트록이 너무 강하거나 너무 약하면 공이 엉뚱한 곳으로 가게 되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특히 공과 레일이 가까울때는 특별히 유념해서 부드러운 샷을 구사하셔야 합니다.
스피드의 기준은 수구가 1,2,3,4,5 쿠션후 센터까지 이동하는 속도를 기준으로 치셔야 정확하게 구사됨을 아셔야 합니다.
3쿠션에서 득점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3쿠션후 센터까지, 4쿠션이나 5쿠션에서 득점이 이루어 지는 경우에는 다시 센터까지 이동하는 기준으로 스피드를 구사하여야 정확하게 시스템에 적용이 됩니다.
스피드에 따른 변화도 매우 크기에 항상 일정한 스피드 기준을 이해하고 접근하여야 합니다.
5. 수구수별 트랙선
이제 파이브앤하프 시스템이 적용된 주요 트랙을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수구수(큐볼위치)를 일정하게 놓고 제1쿠션수를 바꿔가며 공이 어떠한 경로로 이동하는지 살펴봅시다.
수구수 30 트랙

수구수 35 트랙

수구수 40 트랙

수구수 45 트랙

수구수 50 트랙 (기준 트랙)

수구수 60 트랙

수구수 70 트랙

이제 제3쿠션수를 기준으로 주요 트랙을 정리해 보기로 하겠습니다.
게임을 하다보면 가장 빈번히 나오는 제3쿠션수는 10, 20, 30, 40입니다.
아래 그림들을 주의깊게 살펴보십시오.
제3쿠션수 10 트랙

제3쿠션수 20 트랙

제3쿠션수 30 트랙

제3쿠션수 40 트랙

여기서 우리는 중요한 사실 두 가지를 반드시 이해해야 하겠습니다.
첫째, 수구수와 제1쿠션수가 달라져도 제3쿠션수는 항상 일정하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30-10, 40-20, 50-30, 60-40, 70-50, 90-70 모두 제3쿠션수는 20입니다.
둘째, 제3쿠션수가 동일하더라도 제4쿠션수는 큐라인(수구수-제1쿠션수)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큐라인 70-50과 30-10 모두 제3쿠션수는 20이지만 제4쿠션수는 두 포인트 이상 차이가 납니다.
앞에서 파이브앤하프시스템의 탄생배경과 현대의 당구에서 팁의 개발로 인해서 텐앤하프시스템이라고 표현했듯이
정확한 3쿠션까지의 구사는 가능하나, 4쿠션은 매우 변화가 많기에 별도의 기준을 이해하여야 합니다.
파이브앤하프시스템의 4쿠션라인이 기존의 파이브앤하프시스템으로 일치하지를 않기에 보정시스템을 만들어서
보완을 하였지만, 매우 복잡한 것이 현실입니다.
모든 트랙선을 암기하기가 쉽지도 않고 보정값도 매우 복잡하기에, 매우 간단한 새로운 4쿠션라인에 대한 시스템이 필요한 것이 현실입니다. 향후 포스팅시 이 부분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대성 공석윤)
'당구 에바 3'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구 3쿠션 시스템 : 플러스 시스템 기본원리 (0) | 2024.05.26 |
---|---|
당구 3쿠션 시스템 : 파이브앤하프 시스템 보정원리 (0) | 2024.05.22 |
당구 3쿠션 시스템 : 유럽(스페인) 시스템 난구 해결 Soluciones a malas posiciones - Solutions to bad positions (0) | 2024.04.25 |
당구 3쿠션 시스템 : 유럽(스페인) 3쿠션 시스템 : 패턴 표준 솔루션 시스템 (0) | 2024.04.24 |
당구 3쿠션 시스템 유럽(스페인) 시스템 : 횡단 시스템 (0) | 2024.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