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당구 에바 3

당구 3쿠션 시스템 : 플러스 시스템 기본원리

by 행복지기2 2024. 5. 26.
반응형

플러스 시스템이란 유래는 수구 출발점 + 입사 포인트를 더하면 도착점이 된다는 뜻에서 플러스시스템이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플러스 시스템의 종류로는

첫째, 플러스시스템으로 수구 포인트수가 10이상 80인 구간에서 적용하는 시스템입니다.

둘째, 플러스 2 시스템으로 수구 포인트수가 20이하인 구간에서 적용하는 시스템입니다.

세째, 3팁 플러스시스템으로 수구 포인트가 50에서 80구간에서 3팁의 회전력으로 구사하는 시스템입니다.

네째, 플러스 4 시스템으로 3팁의 회전력으로 수구출발점에서 3쿠션 도착점까지의 떨어져 있는 포인트에 4를 곱하여서 해당 포인트를 입사 포인트로 계산하는 방식이다.

 

플러스 시스템은 테이블의 구름특성과 속도, 회전력에 민감한 반응을 하기에 정확한 이해가 최우선적으로 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아래에 명시한 정확한 기준을 이해하고 연습하길 부탁드린다.

 

1. 포인트 수 (수구 포인트수, 입사 포인트수, 도착 포인트수)

 

먼저, 기준이 되는 코너 공략시에 포인트별로 도착하는 3쿠션 포인트를 암기하여야 한다.

수구 10에서 코너 입사시 30

수구 20에서 코너 입사시 37

수구 30에서 코너 입사시 45

수구 40에서 코너 입사시 50

수구 50에서 코너 입사시 55

수구 60에서 코너 입사시 60

수구 70에서 코너 입사시 65

수구 80에서 코너 입사시 70

 

단, 코너 포인트를 공략시는 가변 포인트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출발 포인트별로 위의 숫자를 더하여 계산하여야 합니다.

 

코너를 제외하고는 단쿠션 기준으로 반포인트는 20, 1번째 포인트는 30, 1.5포인트는 40, 2번째 포인트는 50으로 고정합니다.

또한, 포인트 중간지점은 웨이팅포인트 원리를 적용하여 6:4를 적용해 보길 권장드립니다.

(즉 20, 30의 중간은 26이 됩니다.)

 

여기서 주의점은 수구 포인트와 입사 포인트는 프레임 포인트를 사용하고 도착 포인트는 레일 포인트를 기준으로 도착된다는 점이다.

.

 

20이하의 구간에서는 정확도가 매우 떨어지니, 사용하지 마시고 플러스2시스템을 사용하시길 권장드립니다.

추후 포스팅시 플러스2시스템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2. 기본 공식

 

수구수(Departure) + 제1쿠션수(Target) = 제3쿠션수(Arrival)

 

 

 

 

예시) 기준 공략법으로 2번째 포인트에서 1번째 포인트를 공략하면 20 + 30 = 50에 도착하는 방식이다.

 

 

3. 당점

 

플러스시스템의 당점은 3팁 1시 30분 또는 10시 30분으로 고정됩니다.(2팁의 회전력을 사용 권장)

자연 회전력이 발생되는 당점을 구사하여야 합니다.

 

 4. 스트록과 스피드

 

플러스시스템의 스트록은 부드러운 팔로우 샷입니다. 스트록이 너무 강하거나 너무 약하면 공이 엉뚱한 곳으로 가게 되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특히 공과 레일이 가까울때는 특별히 유념해서 부드러운 샷을 구사하셔야 합니다.  

 

스피드의 기준은 2레일의 속도로 구사하여야 하며, 최소 1.5, 최대 2.5의 레일의 속도를 구사하여야 합니다.

(2레일이란? 뱅킹의 속도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득점후에 수구가 2포인트 정도 이동할 수 있게 여유있는 속도를 구사함이 포지션과 득점 모두 유리함)

 

스피드에 따른 변화도 매우 크기에 항상 일정한 스피드 기준을 이해하고 접근하여야 합니다.

 

 

5. 적용방법

 

이제 플러스시스템의 주요 적용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아래 그림은 볼 퍼스트의 끌어치는 형태와 비껴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앞으로 돌리는 형태는 수구와 적구가 부딪히면서 충돌유도 회전(CIS)이 발생되어 회전이 증가되기에 실제 사용한 회전대비 회전량이 증가하게 되고 비껴치기의 형태는 회전이 감소하게 된다.

 

이에 대한 해결법은 회전의 량을 조정하는 방식과 입사포인트를 미세 조정해 주는 방식으로 접근해 보길 권한다.

 

 

 

반응형